// 내가 먹는 프로바이오틱스 도움이 되고 있을까? 간단 테스트 법

질병과 건강

내가 먹는 프로바이오틱스 도움이 되고 있을까? 간단 테스트 법

퀸즈하우스 2022. 8. 27. 20:42
728x90
반응형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수명이 짧으며 원산지, 공급지, 가공 유형, 보관 방법 등에 의해서 생명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내가 먹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여전히 건강한 장을 돕고 있는지 집에서 간단하게 테스트해보자.

내가 먹는 프로바이오틱스 도움이 되고 있을까? 간단 테스트 법

최고의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는 어떤 걸까?

내가 먹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테스트 결과
프로바이오틱스 테스트 결과

 

1. 최소 10-15가지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많을수록 좋다).

서로 다른 박테리아가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을 강화하고 식민지화하려면 다양한 유형이 필요하다. 라벨을 확인하고 다음 그룹의 균주가 있는지 확인하자.

 

① B. bifidum, B. breve, B. infantis, B. lactis 및 B. Longum과 같은 비피 도박테리아.

이 다재다능한 박테리아는 유해한 박테리아와 경쟁하고 다양한 분자를 소화하고 노폐물을 분해하고 면역 체계를 자극한다. 항생제에 취약한 경향이 있으므로 오래전이라 하더라도 이전 한 번이라도 항생제를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 복용을 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항생제 사용 후 면역 기능을 회복하지 못하고 그 후 몇 년 동안 고통을 겪는다.

 

② L. acidophilus, L. brevis, L.bulgaricus, L. casei, L. lactis, L. plantarum, L. rhamnosus 및 L. salvarius와 같은 락토바실러스.

상당히 튼튼한 이 박테리아는 영양소 흡수를 증가시키고, 항체 생성을 자극하고, 음식을 에너지로 분해하고, 아미노산을 생성하고, 항염증제 등의 역할을 한다.

 

2. 캡슐당 최소 50억 CFU("집락 형성 단위").

 

3. 프로바이오틱 함유

프리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에게 먹이를 주어 그 수를 늘리고 장에서 작용하는 능력을 최적화한다.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프리바이오틱스는 살아있지 않다.

 

프리바이오틱스들은 매우 특정한 연료(발효성 식이 섬유, 바람직하게는 야콘, 치커리 또는 아티초크와 같은 식품에서 추출)이며, 프리바이오틱스들이 없으면 증식이 느리고 느려지며 심지어 죽을 수도 있는 생산성이 낮은 박테리아를 갖게 된다.

 

4. 소화 효소

소화 효소는 섭취한 음식을 에너지 생산과 세포 기능에 사용할 수 있는 분자로 분해한다. 이 효소는 또한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유기 미량 미네랄

미네랄은 소화 효소가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촉발제인 효소 보조인자이다. 

 

내가 먹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유효 테스트 법

장 건강에 좋다는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 하지만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있는 유기체라서 그 수명이 짧다. 또한 재료의 원산지, 공급자와의 거리, 사용되는 가공 유형, 판매 매장이나 가정에서의 보관 방법 등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과연, 내가 먹고 있는 유산균이 살아있는 유기체를 가지고 있으며 건강에 도움이 되고 있을까? 집에서 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자.

 

방법

1. 작은 그릇 또는 컵에 우유 반 컵 (100ml)을 넣는다.

 

프로바이오틱스 유효 테스트법 1. 우유 100ml 붓기
우유 100ml

 

2. 2시간가량 실온에 놔둔다.

 

3. 우유에 프로바이오틱스를 넣는다.

 

2. 2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후 프로바이오틱스를 넣는다.
2시간 후 프로바이오틱스 넣기

 

4. 최대 24시간 동안 그대로 둔다.

 

3. 24시간 동안 그대로 둔 후 확인한 우유.5. 유기체가 살아있는 바이오틱스는 몽글 몽글 덩어리가 형성됬다.
24시간 후 결과 확인하기

 

5. 우유가 배양되었는지 확인한다.

 

정상적으로 유기체가 살아있는 바이오틱스는 우유가 몽글몽글 덩어리를 형성한다. 잘 섞다 보면 요거트와 비슷하다.

 

이 간단한 테스트법으로 내가 먹고 있는 유산균이 효과가 있는지 집에서 테스트해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