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년 뷰티 키워드!! 이것만은 알아두자

패션과 스타일

22년 뷰티 키워드!! 이것만은 알아두자

퀸즈하우스 2022. 3. 8. 17:35
728x90
반응형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가고 있는 것일까? 22년 패션 뷰티는 어느 때보다도 화려하게 표현되고 있다. 22년도 뷰티 키워드는 레트로 복고풍 'y2K'. 맥시멀 뷰티. 메타버스. 미니멀 뷰티. 비거니즘. 이너 뷰티. 증강현실 이 6가지이다.

22년 뷰티 키워드!! 이것만은 알아두자

블랙핑크의 3D 아바타 모습.
블랙핑크의 3D아바타(메타버스)

올해는 어느 해보다도 화려한 패션과 메이크업이 등장했다. 장기화된 코로나로 인해서 세기말 패션과 뷰티가 레트로 'y2K'란 이름하에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등장한 것이다. 22년도 뷰티 키워드를 알아보자.

1.Y2k

3년여간 이어지는 코로나는 사람들로 하여금 '집콕' 신세를 만들었다. 지난 세기말과 코로나 펜데믹을 같은 선상으로 생각한 것일까? 사람들은 과거의 영상물들을 보기 시작했고 현재에 대한 불만은 과거에 대한 기억을 미화하고, 이는 레트로를 향한 선망으로 이어졌다. mz세대들에겐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와 어느새 전 세계적으로 풍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런웨이에선 얇은 갈매기 눈썹, 아이시한 아이새도, 온몸을 뒤덮은 굵은 글리터 등으로 무장한 모델들이 장악을 했다.

블루마린 쇼에는 사이버 전사처럼 커다란 렌즈 선글라스를 쓴 모델이 머리부터 얼굴, 온몸에 화려한 반짝이를 뒤집어쓴 채 나타났다. 펜디와 베르사체의 콜라보레이션 컬렉션에는 곧게 편 긴 생머리 위로 헤드 스카프를 동여메고 눈머리에 실버 펄로 장식한 모델들이 캣워크를 거닐었다. 이런 추세는 아마도 당분간 이어질 듯하다.

 

2. 다채로운 헤어 스타일

마스크에 얼굴을 절반 이상 가리고 살았던 2년이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헤어스타일에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일까? 어느 때보다도 다채로운 헤어 스타일이 컬렉션 쇼 무대를 수놓았다.

눈을 가리는 독특한 일반 보브 커트, 섬세하게 땋은 머리, 큰 리본으로 묶은 포니테일 등. 아직은 마스크를 벗어던지지 못한 요즘 좀 더 특별한 헤어스타일을 해보면 어떻까?

3. 맥시멀 뷰티

메이크업에서 장기 집권한 내추럴리즘과 미니멀리즘의 사라지고 맥시멀 뷰티의 시대가 열렸다. 거리두기. 모임 제한. 외출 자제라는 자유를 억눌린 데에 대한 보상심리일까? 맥시멀리즘은 과장된 장식과 화려한 색상, 과감한 소재들의 믹스매치, 풍성한 부피감 등을 특징으로 한다. 보라색. 초록색 등의 화려한 아이 메이크업, 두껍고 샤프하게 표현한 아이라인, 입술을 꽉 채운 립글로스의 귀환이 대표적이다. 깨끗하고 밋밋한 메이크업이 지겨웠다면 이처럼 과감한 메이크업에 도전해보자. 마스크 속 답답했던 얼굴을 화사하게 드럴낼 기회이다.

 

4. 미니멀 스킨케어

기초화장을 간소화하고 더 단순하게 피부관리 하자는 미니멀 스킨케어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과다한 기초제품 사용으로 오히려 홍조. 여드름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을 막고 내 피부에 맞는 필요한 중요 단계와 성분에 초점을 맞춰 사용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똑똑하게 고른 최소한의 제품으로 스킨케어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화된 펜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삶을 보다 간소화하려는 노력과 맞물려 있다.

 

5. 비거니즘

환경에 대한 관심은 전 세계적으로 뜨겁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윤리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친환경과 공존의 가치를 생가하며 비건 열풍이 불고 있다. 비거니즘 화장품이란 동물성 원료나 동물 유래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실험을 거치지 않는 식물성 원료만을 사용하는 화장품을 말한다. 지난해 출시된 신제품 화장품에는 '비건'이라는 설명이 없는 제품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또한 '플라스틱 프리'를 외치며 뷰티 바를 찾는 사람이 늘어난 덕에 뷰티 브랜드들은 사라졌던 고체비누를 다시 만들기 시작했다. 연예인중에는 이효리, 류준열이 대표적인 비거니스타이다. 

 

5. 이너뷰티

내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자는 이너뷰티는 바르는 화장품이 아니라 음식 섭취를 통해 건강과 아름다움을 가꾸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피부미용. 다이어트. 항산화등의 기능성 제품을 뜻한다. 

 

6. 메이크업도 증강현실로

그동안은 백화점과 드러그스토어에서 제품을 사기 위해서 테스트를 했다면 이제는 AR 뷰티 기술로 메이크업 자체를 테스트할 수 있다. 지난해 론칭한 AR뷰티앱 '티커'는 다수 뷰티 브랜드와 협업해 실제 제품의 발색과 동일한 AR 메이크업 기능을 제공한다. 더구나 메이크업을 유지한 상태로 영상통화까지 할 수 있다. 친구와 화상통화를 하면서 발색이나 제품에 대해 의논할 수 있다는 얘기이다. 올해까지 지속될 재택근무나 비대면 모임이 지속될 것을 감안한다면 화상회의 등 AR메이크업의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7. 메타버스

확장 가상 세계, 가상 우주라고도 한다.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를 합성한 신조어이다.

한마디로 가상의 공간에서 모든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팬데믹으로 경험에 제약이 많아진 우리에게 메타버스는 현실에서 할 수 없는 모든 것을 실현할 수 있게 했다. 가상현실 속 사진과 같은 2D 속 소비자의 추억을 3D로 재연해내고, 여기에 화장이나 헤어스타일, 의상을 새롭게 입혀 현실에서 하지 못했던 경험을 해볼 수 있게 하는 것도 메타버스의  활용이 될 수 있다. 메타버스의 대표 격인 제페토(ZEPETO)에서 나스와 헤라가 신제품 메이크업 컬렉션을 발표하며 메타버스에 진입했다.

 

22년 뷰티 트렌드및 키워드를 알아보았다. 과하게 느껴진다고 해도 한번쯤은 시도해 보자. 억눌렸던 자신을 한번쯤은 과감하게 표현해도 좋을것이다.

반응형